Diversity analysis of micro-organism
▶ α-diversity
- 하나의 sample에 존재하는 종의 다양성을 분석
- Mean species diversity를 의미
- 개체 수에 관계 없이 얼마나 종의 수가 많은가를 보는 지표
-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양성 지수를 사용 (species richness; 단순한 종의 수 / shannon, simpson index; 종의 비율을 고려한 지수 / Effective number of species; 유효 종 수)
α-diversity | About |
Observed | - Sample 당 분포되어 있는 species 수 |
Chao1 | - Species information을 바탕으로 species richness를 추정한 값 - 발견되지 않거나 보이지 않은 종의 존재 가능성을 고려 |
ACE | - 샘플에서 발견되지 않거나 보이지 않은 종이 남아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견된 종의 정보를 바탕으로 종에 대한 richness를 추정 |
Shannon |
- Sample내에 존재하는 species diversity를 추정한 값
- 값이 클수록 다양성이 큼 |
Simpson | - Sample에서 발견되는 species concentration (value: 0-1) - 값이 클수록 다양성이 작음 |
Fisher | - 종 다양성에 대한 log 분포 |
▶ β-diversity
- 각 샘플 및 그룹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
β-diversity | About |
Bray-Curtis dissimilarity | - 두 군간 compositional dissimilarity를 정량화하기 위한 통계법 |
UniFrac - weighted | - Microbal ecology에서 널리 사용 |
UniFrac - unweighted | - Microbal ecology에서 널리 사용 |
Jaccard index | - Sample sets의 similarity와 diversity를 비교하기 위한 통계법 |
UPGMA tree | - 샘플 간의 다양성 거리 측정 - 샘플 간 차이를 한눈에 보기 쉬움 |
'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ssociation analysis - RDA (0) | 2022.07.26 |
---|---|
Redundancy analysis (RDA) vs.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(PCA) (0) | 2022.06.30 |